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용전동 산후한약처방을 도와드리는 라온한의원입니다. 산후조리는 출산 후 산모가 신체를 회복하는 과정입니다. 출산 후 약 6주 정도를 산욕기라고 해서 몸을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기간입니다.
이때 여러 호르몬, 관절과 인대, 그리고 기혈의 변화가 연쇄적으로 나타납니다. 이 시기 건강한 회복을 위해서는 산모는 물론 가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출산 후에는 기운과 혈액이 부족하고 관절의 불균형, 인대 근육의 이완과 약화, 심리적인 변화 등이 생기는데 이런 증상을 산후풍이라 합니다.
한의학의 관점에서 산후조리 핵심은 용전동산후한약을 통해 때에 잘 맞춰 부족한 건 채우고, 넘치는 것은 비우는 적당함을 통해 산후풍을 최소화하고 출산 전보다 건강하게 회복하는 것입니다. 출산 후 대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관절통, 감각장애, 땀 과다, 우울증 등이 있습니다.
통증은 여러 관절에서 다발성으로 나타나며 산모마다 ‘시리다, 화끈거린다, 저리다, 쑤시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만약 특정 시간대에 특정 관절만 많이 붓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류머티즘성 관절염, 손목터널 증후군 등 다른 질환 여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통증 이외에도 땀이 비 오듯 흐르거나 체온 조절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데 산모에게 있어 땀은 피와 같은 것으로 출산직후 어혈을 의도적으로 배출시켜 좋은 피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땀을 배출하고 충분한 수분 보충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차가운 바람이 옷깃을 스치기만 해도 그 부위가 시리고 아프다면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게 기온과 습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산모의 몸을 뜨겁게 하는 열기와 차갑게 하는 한기를 조절하는 용전동산후한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통 시간과 출혈량, 출산 방법, 출산 횟수, 육아 환경 등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해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공통된 산후조리법을 추천하기란 어렵습니다. 즉, 산모 개개인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해 증상에 맞는 용전동산후한약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기혈 회복을 위한 산후조리 한약은 일반적으로 출산 직후 어혈을 풀어주고 난 이후, 보혈 단계로 넘어가지만 이 또한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원칙 몇 가지를 기억해 의료진과 상의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조리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임신으로 인한 약 10개월 동안의 신체 변화는 출산한다고 해서 원래의 몸으로 저절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출산 후 최소 6~24주 동안은 산후풍 증상을 치료하고 관리해나가야 합니다. 특히 출산 직후 12주 동안은 체력을 회복하는 핵심 기간입니다.
황금의 3개월이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용전동산후한약뿐 아니라 통증 정도와 증상에 따라 침·뜸·추나 치료 등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의 과잉 보호는 증상을 악화시킬 뿐, 증상 개선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후나 환경, 행동 양상에 큰 변화를 주기보다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특히 몸의 근육과 인대들이 느슨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빠른 회복을 위해 무리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매일 5~10분 정도 단계별 운동을 시작하고, 회복 속도에 따라 점차 운동 강도와 횟수, 시간을 늘려나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